전체 글171 CTX 기술 비교 최근 BYD는 CTB 기술을 출시했습니다.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CTC 기술과 비교했을 때 CTB 기술의 장점은 무엇인지 비교를 해보겠습니다. 1. 배터리 시스템 개발 트렌드 "셀-모듈-배터리 팩"(일반적으로 소형 모듈이라고 함)의 형태를 추가하는 가장 큰 장점은 더 나은 관리와 애프터서비스 등 후속 유지 관리가 유용합니다.그러나 직렬로 연결하려면 필연적으로 많은 수의 케이블과 구조 부품을 사용하여 연결해야 하며, 여기에는 많은 중복 구조가 있어 배터리 팩의 활용률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전체 전원 배터리를 매우 부피가 크게 만듭니다.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업계에서는 "CTP"라는 개념을 제안하기 시작했습니다. 즉, 모듈 수를 생략하거나 줄이고 셀을 배터리 팩에 직접 배치하는 것입니다. 예를 .. 2024. 9. 26. CTB(Cell to Body)와 CTC(Cell to Chassis) 개념 차이 CTB (Cell to Body) CTB는 배터리 셀을 차량의 차체(body)와 직접 통합하는 기술입니다. 배터리 셀들이 차량의 차체 구조 일부로 작용해 무게를 줄이고, 차체 강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내부 공간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차량의 주행 거리 향상에도 기여합니다. 배터리 셀이 차체에 직접 통합되는 방식입니다. 차체 일부가 배터리와 연결되며, 배터리 팩이 자동차의 하부에 독립적으로 있는 게 아니라 차체 구조의 일부로 배치됩니다. 이렇게 하면 차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자동차의 경량화에 도움이 됩니다. CTC (Cell to Chassis) CTC는 배터리 셀을 차량의 섀시(chassis)와 통합하는 방식입니다. 이 기술은 배터리 팩이 차체 아래 섀시에 .. 2024. 9. 25. 전기차 배터리 시스템에서의 저항과 임피던스 개념 전기차 배터리 팩에서 저항(resistance)과 임피던스(impedance)는 모두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이지만, 그 개념과 작동 방식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 두 용어는 주로 배터리 시스템의 전기적 성능을 설명할 때 사용되며, 특히 저항은 주로 직류(DC) 회로에서, 임피던스는 교류(AC) 회로에서 주로 적용됩니다. 하지만 배터리처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는 특성을 가진 시스템에서는 두 개념 모두 관련이 있습니다. 저항 (Resistance) 저항은 전기회로에서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로, 직류(DC) 전류와 관련이 있습니다.옴의 법칙에 따라 저항은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아시겠지만, R은 저항 (옴, Ω), V는 전압 (볼트, V), I는 전류 (암페어, A) 입니다. 저.. 2024. 9. 24.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의 최대전압, 에너지 계산 전기자동차 배터리 팩 시스템의 에너지 및 전력을 구하는 예제를 진행해보려고 합니다. 가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숫자가 현실적이지는 않습니다. 구분을 위해 특이한 숫자를 적용했습니다. 배터리 셀의 작동 전압: 2.8V ~ 4.2V배터리 셀의 Nominal Voltage: 3.7V배터리 셀의 용량: 77Ah모듈당 셀의 개수: 12개배터리 팩 구성: 모듈 7개모듈 저항: 0.5Ω 팩 저항: 1.3Ω 첫번째는 배터리 팩내의 셀 및 모듈이 전부 병렬로 배치되어있는경우, 두번째는 배터리 팩내의 셀 및 모듈이 전부 직렬로 배치되어있는 경우를 가정하여 계산해보겠습니다. 병렬 배치의 경우 배터리 팩의 설치 에너지 (Nominal Installed Energy) 병렬 배치에서는 각 셀의 전압은 동일하지만, 전류 용량은 .. 2024. 9. 23. 전기차 유형별 ( BEV, PHEV, HEV, EREV)에서 파이로 퓨즈의 적용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차량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기술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파이로 퓨즈는 전기차 배터리 시스템의 안전을 보호하는 핵심 장치로 자리잡았습니다. 전기차는 배터리와 전기 시스템을 통해 구동되며, 고전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기적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파이로 퓨즈는 이러한 전기적 사고를 예방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각 전기차 유형(BEV, PHEV, HEV, EREV)에 따라 파이로 퓨즈의 적용 방식과 요구 사항이 다릅니다. 배터리 전기차(BEV)는 전력의 모든 부분을 배터리에 의존하는 차량입니다. 이 때문에 배터리 보호가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파이로 퓨즈는 고전압 배터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기적 단락이나 과열, 과전류 상황에서 .. 2024. 9. 22. 전기차 파이로 퓨즈 Pyrofuse 전기차가 대중화되면서 그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도입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파이로 퓨즈(Pyrofuse)는 전기차의 배터리 시스템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전기차는 고전압 배터리 시스템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고 발생 시 전기적 단락이나 배터리 화재와 같은 심각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특수한 보호 장치가 필요합니다. 파이로 퓨즈는 이러한 상황에서 빠르고 안전하게 전류를 차단하여 전기적 사고를 방지하는 장치입니다.파이로 퓨즈 원리 일반적인 퓨즈는 멜팅 퓨즈, 즉 녹아서 끊어지는 원리의 퓨즈입니다.파이로 퓨즈는 기본적으로 화학적 에너지를 이용해 전기 회로를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장치입니다. 평소에는 회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만, 특정 조건에서 파이로 퓨즈가 작동하면 내부에 소량의 .. 2024. 9. 21. 전기차 캐즘의 의미와 원인 그리고 극복방안 전기차 캐즘이란 무엇인가 전기차(EV)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그 과정에서 '캐즘(Chasm)'이라는 중요한 개념이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캐즘은 기술 혁신이 초기 시장에서 대중 시장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큰 간극을 의미합니다. 초기 소비자는 새로운 기술에 대해 열정적이고 모험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지만, 대중 소비자는 보다 신뢰성 있고 경제적인 이점을 중시합니다. 따라서 전기차가 초기 혁신 소비자들을 넘어 대중에게 받아들여지는 데에는 일정한 시간이 필요하며, 이 간극을 넘지 못하면 성장이 정체될 수 있습니다. 전기차 캐즘의 원인 전기차 시장에서 캐즘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는 기술적 한계입니다. 첫째, 주행 거리와 충전 인프라의 부족이 전기차 대중화를 가로막는 큰.. 2024. 9. 20. 전기차 배터리 기술의 발전과 시장 영향 최근 몇 년 동안 전기차(EV) 산업은 급속한 성장을 이루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배터리 기술의 발전이 있습니다. 전기차의 핵심 부품인 배터리는 차량의 주행거리, 충전 속도, 효율성 등 중요한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기술 개발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습니다. 오늘은 전기차 배터리 기술의 발전이 전기차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전기차 배터리 기술의 주요 발전 전기차 배터리 기술은 에너지 밀도, 충전 속도, 안전성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초기의 전기차 배터리는 주행거리가 짧고 충전 시간이 길어 소비자들이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 몇 년간 리튬이온 배터리의 기술적 진보로 이러한 문제들이 크게 해결되었습니다. 에너지 .. 2024. 9. 17. 2024년 전기차 시장의 예상 트렌드 2024년은 전기차(EV) 시장이 더욱 성숙해지고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 수요가 증가하면서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뿐만 아니라 스타트업까지 이 시장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각국의 정부와 기업은 전기차 보급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시장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주요 동향을 살펴보겠습니다. 다만, 글로벌 경제의 영향과 안전성 이슈로 약간 그 일정이 지연될 수는 있습니다. 글로벌 전기차 수요 상승 성장세 전기차 시장은 2024년에도 강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유럽, 중국, 북미 시장에서의 전기차 판매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입니다. 이는 환경 규제 강화와 배출가스 절감 목표에 따라 전기차가 내연기관 차량을 대체하는.. 2024. 9. 16. 이전 1 ··· 16 17 18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