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차(EV) 시장 동향 및 분석

LG에너지솔루션 후기, 인터배터리 2025

by 혁신적인 로젠 2025. 3. 11.
 

2025년 3월 5일부터 7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인터배터리 2025'는 국내 배터리 산업의 중추적 역할을 하는 LG에너지솔루션이 차세대 기술을 대거 공개하며 업계의 주목을 집중시킨 행사로 기록되었습니다. 540㎡ 규모의 역대 최대 부스에서 선보인 46시리즈 원통형 배터리와 혁신적인 모듈 솔루션은 물론, 글로벌 협력 사례까지 종합적으로 소개하며 기술 선도 기업의 위상을 공고히 했습니다.

 

 

인터배터리 전시회는 국내 최대 규모의 배터리 산업 전시회로, 매년 최신 배터리 기술과 제품을 선보이는 중요한 행사입니다. 이러한 무대에서 LG에너지솔루션(LGES)은 혁신적인 기술과 제품을 공개하며 배터리 산업의 미래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LG에너지솔루션이 인터배터리 전시회에서 선보인 주요 기술과 제품들을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전구체 프리 양극제: 생산 효율성과 환경 친화성의 조화

 

LG화학은 인터배터리 전시회에서 전구체 프리 양극제를 공개하였습니다. 양극제는 배터리의 용량과 수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2차전지의 4대 핵심 소재 중 하나입니다. 기존의 양극제 생산 과정에서는 전구체라는 중간 원료가 필요했지만, LG화학은 전구체가 필요 없는 양극제 개발에 성공하였습니다. 이 기술은 맞춤 설계된 금속으로부터 직접 소성하여 양극제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생산 과정을 단순화하고 효율성을 높였습니다. 이를 통해 개발 기간과 제품 생산 시 발생하는 탄소 배출도 감소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LG화학은 2024년 말 전구체 프리 양극제 개발을 완료하였으며, 2025년 상반기부터 고객사에 납품을 시작할 계획입니다. 또한, 구미공장에서의 양산을 통해 대규모 생산 체제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넥슐라: 에어로젤 기반의 열폭주 차단 소재

 

배터리의 안전성은 전기차 및 다양한 전자기기의 성능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LG화학은 이번 전시회에서 에어로젤을 활용한 열폭주 차단 소재인 넥슐라를 처음으로 공개하였습니다. 에어로젤은 무기물 기반의 열차단 소재로, 현재 지구상에 존재하는 열차단 소재 중 열도도가 가장 낮아 우수한 열 차단 성능을 자랑합니다. 넥슐라는 화재 발생 시 열 확산을 지연시켜 배터리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LG화학은 이 제품을 2025년부터 배터리 제조사들에게 본격적으로 판매할 계획입니다.

 

셀투팩 기술: 모듈 단계를 생략한 혁신적인 배터리 팩 디자인

 

LG에너지솔루션은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셀투팩(Cell-to-Pack) 기술을 이번 전시회에서 최초로 공개하였습니다. 이 기술은 기존 배터리 구성에서 모듈 단계를 생략하고, 셀을 직접 팩에 조립함으로써 에너지 밀도를 높이고 배터리 무게와 비용을 절감하는 고도화된 공정 기술입니다. 특히, LG에너지솔루션은 파우치 셀에 특화된 셀투팩 컨셉을 개발하여 더 가볍고 안전하며 높은 에너지 효율을 구현하였습니다. 이러한 기술 혁신은 전기차의 주행 거리 향상과 가격 경쟁력 확보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드 니켈 퓨어 NCM 100% 배터리: 노트북 시장의 새로운 표준

 

소형 전지 분야에서도 LG에너지솔루션의 혁신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번 전시회에서 LG에너지솔루션은 노트북용 미드 니켈 퓨어 NCM 100% 배터리를 새롭게 개발하여 공개하였습니다. 이 배터리는 기존 LCO 배터리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완충 전압을 극복하고 고전압 구동을 실현하였으며, 이를 통해 노트북 배터리 시장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특히, 이 배터리는 인터배터리 어워즈에서 최고 혁신상을 수상하며 그 우수성을 인정받았습니다.

BMS와 BaaS: 배터리 관리 토털 솔루션과 서비스의 진화

 

배터리의 효율적이고 안전한 사용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고객들이 배터리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배터리 관리 토털 솔루션(BMS)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기차 배터리의 상태와 수명을 관리할 수 있는 고객 맞춤형 배터리 생애 주기 관리 서비스(BaaS)인 '비 라이프 케어'도 선보였습니다. 이러한 서비스는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하고, 예기치 못한 문제를 사전에 예방함으로써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상용차 시장으로의 진출: 전동화의 새로운 지평

 

LG에너지솔루션은 승용차뿐만 아니라 상용차 시장에도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습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세계적인 상용차 제조 업체인 이스즈사의 ELF 모델에 LG에너지솔루션의 원통형 셀 모듈팩과 BMS가 적용된 차량을 공개하였습니다. 이 차량은 별도의 전압 조정 없이 팩을 병렬로 연결할 수 있어 다양한 용량으로 제공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최종 소비자는 각자의 상황과 필요에 맞는 상용차 용량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하나의 정션 박스와 마스터 BMS를 통해 여러 개의 배터리 팩 컨트롤이 가능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차량 운영을 지원합니다.

전력망 및 주택용 ESS: 에너지 저장 솔루션의 확대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은 재생에너지의 활용도를 높이고 전력 수급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전시회에서 북미 시장을 중심으로 확대 중인 전력망 및 주택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제품을 선보였습니다. ESS는 재생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필요할 때 공급할 수 있어 전력망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인 기술입니다.

특히, LG에너지솔루션은 ESS 기술을 통해 주택용 및 산업용 에너지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의 ESS 제품은 높은 에너지 밀도와 안전성을 갖춘 배터리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이를 통해 전력 사용자의 전기 요금 절감과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해졌습니다.

 

전기 이륜차용 배터리 공유 스테이션(BSS)과 전기차 배터리 리사이클링

 

LG에너지솔루션은 GS25와 협력하여 전기 이륜차용 배터리 공유 스테이션(BSS)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BSS는 전기 이륜차 배터리를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인프라로, 충전 시간을 단축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공유 시스템을 통해 전기 이륜차 사용자는 충전 대기 없이 빠르게 배터리를 교환할 수 있으며, 배터리의 활용도를 높여 전반적인 운용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LG에너지솔루션은 지속가능한 배터리 사용을 위해 전기차 배터리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일정 수명이 지난 배터리를 재사용 및 재활용하는 배터리 리사이클링 솔루션도 제시하였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배터리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배터리의 생애 주기를 연장하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CAS(Cell Array Structure) 기술: 차세대 배터리 팩 구조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전시회에서 CAS(Cell Array Structure) 기술을 선보였습니다. 이 기술은 기존의 배터리 팩 구조를 개선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냉각 성능과 안전성을 강화한 것이 특징입니다. CAS 구조는 셀을 보다 촘촘하게 배열하여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동시에 배터리의 내구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전기차 배터리의 성능이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LFP 배터리: 안전성과 경제성을 갖춘 차세대 배터리

 

LG에너지솔루션은 인터배터리 전시회에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기술도 소개하였습니다. LFP 배터리는 높은 안전성과 긴 수명을 자랑하며, 특히 가격 경쟁력이 뛰어나 전기 상용차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용 배터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의 LFP 배터리는 기존 제품 대비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동시에 대량 생산을 통해 가격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였습니다.

건식전극공정: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배터리 제조 기술

 

LG에너지솔루션은 건식전극공정(Dry Electrode Process) 기술도 전시하였습니다. 기존의 배터리 전극 제조 과정에서는 유기용매를 사용해야 하지만, 건식전극공정은 이를 제거하여 환경 오염을 줄이고 생산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건식 공정은 전극 밀도를 높일 수 있어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도 기대됩니다. 이 기술은 향후 대량 생산 과정에서 배터리 제조의 혁신을 이끌 것으로 전망됩니다.

CTP(Cell-to-Pack) 기술: 파우치형 유닛 기반의 혁신적인 배터리 팩 설계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인터배터리 전시회에서 파우치형 유닛 기반의 CTP(Cell-to-Pack) 기술을 공개하며 배터리 팩 설계의 혁신을 선보였습니다. 기존의 배터리 팩 설계에서는 개별 배터리 셀을 모듈 단위로 구성한 후, 이를 팩으로 조립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습니다. 하지만, CTP 기술은 모듈 단계를 생략하고, 개별 셀을 바로 팩으로 조립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배터리 팩의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키고 무게와 부피를 줄이는 효과를 제공합니다.

특히, LG에너지솔루션은 파우치형 배터리 셀을 CTP 방식으로 구현하는 기술을 최초로 적용하였습니다. 기존의 CTP 기술은 주로 원통형 또는 각형 셀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왔기 때문에, 파우치형 유닛을 활용한 CTP 기술은 LG에너지솔루션의 차별화된 강점으로 평가됩니다.

파우치형 유닛을 CTP 구조로 배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

  1. 높은 공간 활용성: 파우치형 셀은 유연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기존의 각형이나 원통형 대비 공간 활용도가 높아집니다.
  2. 에너지 밀도 향상: 모듈을 제거함으로써 구조적 비효율을 줄이고, 동일한 부피에서 더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3. 무게 절감: 불필요한 구조물을 제거하여 전반적인 배터리 시스템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습니다.
  4. 생산 비용 절감: 모듈 단계를 생략함으로써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며, 원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을 통해 LG에너지솔루션은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더욱 강력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특히 고성능 전기차 및 차세대 전동화 모빌리티 분야에서 CTP 기술을 적극적으로 적용할 계획입니다.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 지속 가능한 전력망 구축을 위한 핵심 기술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전시회에서 차세대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을 선보이며, 전력망 안정성과 재생에너지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을 공개하였습니다. ESS는 태양광 및 풍력 발전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를 저장하고 필요할 때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전력 수요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의 ESS 솔루션은 높은 에너지 밀도를 제공하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기반으로 하며, 산업용 및 주택용 등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소듐이온 배터리: 자원 활용성을 극대화한 차세대 배터리 기술

 

LG에너지솔루션은 리튬보다 풍부한 원소인 나트륨을 기반으로 한 소듐이온 배터리 기술도 연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원자재 비용을 절감하고 지속 가능한 배터리 공급망을 구축하고자 합니다. 소듐이온 배터리는 원재료의 가격 변동성에 영향을 덜 받으며, 리튬이온 배터리 대비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대량 생산이 가능합니다. 또한, 저온 환경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여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 높은 안전성과 에너지 밀도를 갖춘 미래 배터리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는 기존의 액체 전해질을 고체 전해질로 대체하여 배터리의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킨 차세대 기술입니다. 특히,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는 전도성이 뛰어나며,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 대비 충전 속도가 빠르고 긴 수명을 제공합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의 상용화를 목표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향후 전기차 및 ESS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리튬황 배터리: 가벼우면서도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춘 차세대 배터리

 

리튬황(Lithium-Sulfur) 배터리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 대비 훨씬 가벼운 무게와 높은 에너지 밀도를 제공하는 차세대 배터리 기술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리튬황 배터리를 활용하여 전기차, 드론, 항공우주 산업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가고 있습니다. 리튬황 배터리는 황(Sulfur)을 양극재로 사용하여 원재료 비용이 저렴하고, 충전 사이클을 최적화함으로써 배터리 수명을 극대화하는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의 비전과 인터배터리 전시회의 의미

 

LG에너지솔루션은 단순한 배터리 제조 기업을 넘어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리더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이번 인터배터리 전시회에서 공개된 다양한 기술과 제품들은 LG에너지솔루션이 미래 전동화 시대를 대비하여 얼마나 적극적으로 혁신을 추진하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전구체 프리 양극제, 넥슐라, 셀투팩 기술, 미드 니켈 퓨어 NCM 100% 배터리, BMS 및 BaaS 서비스, 상용차 배터리 솔루션, ESS, 그리고 배터리 리사이클링까지, LG에너지솔루션은 배터리 기술의 전 영역에서 앞선 기술력을 선보이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번 인터배터리 전시회를 통해 LG에너지솔루션은 미래 전동화 시장의 핵심 플레이어로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했으며, 지속 가능한 배터리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LG에너지솔루션이 선보일 새로운 기술과 제품들이 배터리 산업과 전기차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기대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VLAmImN67KU

 

 

요약:

 

혁신 셀 기술

  • 전구체 프리 양극제: 생산 효율화, 탄소배출 감소
  • Nexsula 에어로젤: 열폭주 차단 소재, 안전성 향상
  • 미드 니켈 퓨어 NCM 100%: 노트북용 혁신상 수상

팩 설계 혁신

  • 셀투팩(CTP): 모듈 단계 생략, 에너지 밀도 향상, 경량화
  • CAS(Cell Array Structure): 공간 활용 최적화, 냉각 효율 증가

통합 에너지 솔루션

  • BMS/BaaS: 배터리 수명 관리 서비스 "비 라이프 케어"
  • 상용차: 이스즈 ELF 모델 협력, 병렬 연결 시스템
  • ESS: 전력망/주택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
  • BSS: GS25 협력 전기 이륜차 배터리 교환 인프라

미래 기술 로드맵

  • LFP 배터리, 건식전극공정, 소듐이온 배터리
  •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 리튬황 배터리

 

 

Innovative Cell Technologies

  • Precursor-Free Cathode Material: Streamlined production, reduced carbon emissions
  • Nexsula Aerogel: Thermal runaway prevention, enhanced safety
  • Mid-Nickel Pure NCM 100%: Award-winning laptop battery solution

Pack Design Innovations

  • Cell-to-Pack (CTP): Module elimination, increased energy density, weight reduction
  • Cell Array Structure (CAS): Optimized space utilization, improved cooling efficiency

Integrated Energy Solutions

  • BMS/BaaS: Battery lifecycle management service "Be Life Care"
  • Commercial Vehicles: Isuzu ELF model partnership, parallel connection system
  • ESS: Grid/residential energy storage systems
  • BSS: Battery sharing stations for electric two-wheelers (GS25 partnership)

Future Technology Roadmap

  • LFP Batteries, Dry Electrode Process, Sodium-Ion Batteries
  • Sulfide-Based All-Solid-State Batteries, Lithium-Sulfur Batteries

 

 

 

다녀가신 흔적은 아래의 하트 모양의 공감 ()을 눌러서 남겨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로그인하지 않으셔도 공감은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