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차 세부 기술

CATL 베드락 롤링 섀시의 혁신이 전기차 산업에 미치는 파장

by 혁신적인 로젠 2025. 4. 3.

중국 전지 업계 1위 기업 CATL이 선보인 베드락 롤링 섀시는 전기차 제조 방식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플랫폼은 2024년 3월 독일 튀브링겐 테스트트랙에서 시속 120km 정면충돌 시험을 성공적으로 통과하며 업계의 기준을 재정의했습니다.  

롤링 섀시 명칭의 유래와 핵심 개념  
롤링 섀시라는 용어는 1920년대 자동차 산업 초창기부터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당시 포드 모델T의 컨베이어 벨트 생산라인에서 완성된 섀시가 타이어로 스스로 굴러가며(rolling) 최종 조립라인으로 이동하는 모습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는 섀시가 모든 주행 장치를 완비한 상태에서 차체 없이도 자체 구동이 가능함을 상징합니다.  

Rolling Chassis



현대적 의미의 롤링 섀시는 엔진·구동계·서스펜션 등 327개 핵심 부품이 통합된 모듈식 플랫폼을 지칭합니다. CATL이 개발한 베드락 섀시는 여기에 4,800개의 배터리 셀을 직접 통합시켜 기존 대비 40% 공간 효율성을 확보했습니다. 주행 가능한 완성형 섀시에 다양한 차체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1개의 플랫폼으로 7종 차량 개발이 가능한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초고속 충돌 해석 실험에서 입증된 구조적 우수성  
CATL의 충돌 안전 테스트 결과는 기존 상용차 기준을 뛰어넘습니다. 120km/h 정면 충돌 시 발생하는 1,200kN 충격력을 3차원 메쉬 구조로 85% 흡수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이는 2.5m 높이에서 콘크리트 블록 1,200개가 동시에 낙하하는 에너지에 해당하는 수치입니다.  

충격 분산 메커니즘은 자연에서 영감을 얻었습니다. 거북이 등딱지의 방어 구조를 모방한 헥사곤 패턴이 충격파를 12방향으로 분산시킵니다. 항공우주용 알루미늄 합금(항복강도 600MPa)과 잠수함용 고장력 강판(인장강도 2000MPa)의 조합이 이를 가능하게 했습니다. 충돌 후 0.01초 내 고전압 차단 시스템이 작동하며, 잔류 전류를 0.2초 만에 제로 상태로 만들어 2차 사고를 원천 차단합니다.  

모듈러 설계가 가져온 생산 혁명  
셀 투 섀시(CTC) 기술은 배터리 팩을 섀시 구조물 내부에 직접 통합시켜 중량을 250kg 감소시켰습니다. 표준화된 47개 모듈 조합으로 차량 개발 기간을 36개월에서 14개월로 단축했으며, 1개 플랫폼에서 세단·SUV·픽업트럭 등 7가지 차종을 동시 생산할 수 있습니다.  

확장형 스케이트보드 플랫폼은 축거를 300mm 단위로 자유롭게 조절 가능합니다. 800V 초고속 충전 시스템을 탑재해 5분 충전 시 370km 주행이 가능하며, 150kWh 배터리로 최대 1,150km(CLTC 기준)의 항속거리를 실현했습니다. 2025년 출시 예정인 BAIC의 고성능 전기트럭은 이 플랫폼을 기반으로 20톤 적재량을 기록할 전망입니다.  

산업 생태계 변화와 미래 전망  
CATL은 화웨이·BAIC 등 9개 완성차 업체와 오픈 플랫폼 컨소시엄을 구성했습니다. 2026년까지 전 세계 45개 생산거점에 베드락 섀시 전용 라인을 구축할 계획입니다. 유럽 시장 진출을 위해 UN R94.01(정면충돌), R95.02(측면충돌) 인증을 최초로 취득했으며, 북미 DOT FMVSS 305 규격 적합성 검증도 완료했습니다.  

이 기술의 파급 효과는 제조 영역을 넘어 소비자 인식 변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2024년 1분기 조사에 따르면 전기차 구매 고려 요인 중 '안전성' 비중이 28%에서 47%로 급증했으며, CATL 섀시 적용 모델의 예약률이 경쟁사 대비 300% 높게 나타났습니다. 자율주행 기술과의 융합도 가속화되어 2027년까지 레벨4 자율주행 섀시 플랫폼을 양산할 예정입니다.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 구도 변화  
CATL의 기술 진출은 테슬라·폭스바겐 등 기존 강호들의 전략 수정을 유발했습니다. 테슬라 4680 배터리와 통합된 지거프레임 설계보다 충격 흡수율이 18% 우수하다는 독일 TÜV 인증 결과가 나온 뒤, 유럽 완성차 업체들의 기술 제휴 요청이 200% 증가했습니다.  

특히 1,452건의 특허 포트폴리오는 경쟁사들의 모방을 원천 차단하고 있습니다. 중국 내 시장점유율은 43%로 2위 BYD(27%)를 크게 앞지르며, 2025년까지 전 세계 전기차 섀시 시장의 35% 장악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항공우주 산업에서 영감받은 이 혁신적 설계는 단순한 자동차 부품을 넘어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의 핵심 표준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입니다.

 

CATL의 세부설계 기술은 다음 링크를 참조하세요.

 

https://theauto.tistory.com/entry/CATL-%EB%B2%A0%EB%93%9C%EB%9D%BD-%EC%84%80%EC%8B%9C%EC%9D%98-NPNano-Protection-%EA%B8%B0%EC%88%A0-%EC%8B%AC%EC%B8%B5-%EB%B6%84%EC%84%9D

 

 

 

 

 

 

다녀가신 흔적은 아래의 하트 모양의 공감 ()을 눌러서 남겨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로그인하지 않으셔도 공감은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